달과 6펜스 – 예술에 모든 것을 건 한 남자의 불편한 순수함
작품 요약
서머싯 몸의 소설 '달과 6펜스'는 증권 브로커로 살던 한 남자가 모든 것을 버리고 화가가 되어 타히티에서 생을 마감하기까지, 예술과 광기 사이를 질주하는 삶을 그리고 있다. 실제 화가 폴 고갱의 삶을 모티프로 한 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찰스 스트릭랜드다.
런던에서 중산층 가장으로 살아가던 스트릭랜드는 어느 날 아무 말 없이 집을 떠난다. 그 이유는 단순하다. “그림을 그리고 싶다”는 욕망 하나 때문이다. 가족도, 안정된 생활도, 사회적 명성도 모두 버린 그는 파리의 다락방에서 궁핍한 삶을 시작한다.
파리에서 그는 인간다운 생활은 포기한 채, 그림만을 향한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주위 사람들은 그의 집착과 냉혹함에 경악하지만, 동시에 그 안에 감춰진 불가해한 예술적 힘에 끌린다. 더크 스트로브라는 마음씨 좋은 화가가 그를 도와주고, 심지어 아내를 통해 그를 돌보게 한다. 그러나 스트릭랜드는 그 아내마저 유혹하고, 그녀는 결국 자살한다.
그 후 그는 유럽을 떠나 남태평양의 섬, 타히티로 향한다. 그곳에서 그는 문명에서 벗어난 자연 속에서 완전히 새로운 예술 세계를 펼쳐 나간다. 토속적이고 원시적인 감성이 물씬 풍기는 작품을 그리며, 그의 그림은 생명력 넘치는 색채와 독자적인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 시기 그는 현지 여성 아타와 가족처럼 지내며, 과거와는 다른 정서적 안정을 찾는다.
하지만 예술에 대한 집착은 여전했고, 그는 결국 나병에 걸린다. 시력을 잃어가면서도 붓을 놓지 않고, 마지막까지 벽화를 완성한다. 세상을 떠난 후, 그의 그림은 진가를 인정받게 되고, 사람들은 이제서야 그를 천재로 부른다.
'달과 6펜스'는 결국, 예술가의 ‘고독한 비틀거림’을 따라가는 여정이다. 한 인간이 세상의 질서와 윤리를 벗어나 자기만의 세계를 완성하는 과정이, 그 무엇보다도 격렬하고 아름답게 펼쳐진다.
교과서적 주제
이 소설은 "예술과 도덕",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책임", "천재성과 비정상성" 같은 문학적 주제를 탐구한다. 스트릭랜드는 도덕적 실패자이자 동시에 예술적 승리자다. 그는 주변 사람들을 희생시키면서도 자기 표현에 있어서만큼은 타협하지 않는다. 그가 보여주는 극단적인 자기중심성은 ‘예술을 위해 무엇까지 포기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한다.
또한, ‘사회가 바라보는 성공’과 ‘내면의 소명’ 사이의 간극도 중요한 테마다. 대부분은 6펜스를 줍느라 고개를 숙이지만, 그는 달을 보기 위해 얼굴을 든다. 달은 꿈, 이상, 예술이고, 6펜스는 현실, 생존, 안정이다. 이 극단의 선택이 낳는 아름다움과 고통이 바로 이 작품의 중심축이다.
생각
오늘날 우리는 스트릭랜드 같은 인물을 쉽게 받아들이기 어렵다. 그는 분명히 이기적이고, 주변을 파괴한다. 하지만 그가 보여주는 ‘세상의 잣대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삶’은, 오히려 현대인에게 가장 결핍된 것이 아닐까?
환경에 휘둘리고, 안정과 수익을 기준으로 삶을 설계하는 현실 속에서, 스트릭랜드의 야만적 자유는 불쾌하지만 동시에 부럽다. 나는 그의 삶을 따르고 싶지는 않지만, 그가 바라본 달의 이미지만큼은 놓치고 싶지 않다. 누구나 ‘달’을 꿈꾸지만, 대부분은 ‘6펜스’를 줍고 돌아선다.
저자 소개: 서머싯 몸
윌리엄 서머싯 몸(1874~1965)은 영국 출신의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인간 본성과 사회의 위선을 날카롭게 파헤친 작품들로 유명하다. 대표작으로는 '인간의 굴레', '면도날' 등이 있으며, 그의 문장은 간결하면서도 철학적이다. '달과 6펜스'는 그의 예술가 군상 중 가장 강렬한 캐릭터를 창조한 작품으로, 지금도 “예술과 삶의 본질”을 묻는 고전으로 회자된다.
'세계문학전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곱 박공의 집 - 너새니얼 호손 [세계문학전집 책리뷰] (0) | 2025.04.10 |
---|---|
금오신화 이생규장전 - 김시습 [한국문학 책리뷰] (0) | 2025.04.10 |
유리알 유희 - 헤르만 헤세 [세계문학전집 책리뷰] (0) | 2025.04.10 |
페스트 - 알베르 카뮈 [세계문학전집 책리뷰] (0) | 2025.04.09 |
이방인 - 알베르 카뮈 [세계문학전집 책리뷰] (0) | 2025.04.09 |